[Network] 스위치와 브릿지를 기깔나게 구분해보자
·
Notes/Network
2025.07.08 내용 업데이트 네트워크 공부를 하다보면 인프라를 구성하는 장비에 대해 필연적으로 접하게 된다. 처음에는 '허브'와 '스위치'를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지, 뭐가 다른건지에 대한 고민이 굉장히 컸던 기억이 있다. 우리가 '허브'라고 하면 보통 더미허브(Dummy Hub)를 의미하는 경우가 많다. 이 포스트에서 언급하는 허브도 모두 더미허브를 의미한다. 허브와 스위치를 구분하기 위해서는 OSI 7 Layer 개념을 가져올 필요가 있다. 허브는 물리 계층이 L1 수준에서 작동하는 리피터(Repeater)이다. 수신한 데이터를 그대로 복제하고, 내보낼 수 있는 모든 포트로 브로드캐스트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다시 말해, 연결된 장치의 MAC 주소를 관리하거나 인식하지 못하며, 동시에 여러..
[Network] NAT - PAT와 포트포워딩을 구분지을 수 있을까?
·
Notes/Network
친구와 마인크래프트에서 만나 멀티플레이를 하기 위해서 서버를 열려고 한다. 서버에 친구를 초대하기 위해서는 우선 서버를 열기 위해 마인크래프트 버킷을 세팅하고 우리집 공유기의 25565포트로 들어오는 TCP 패킷을 내 컴퓨터로 전송하도록 공유기 어드민 페이지에서 설정해주어야 한다. 우리는 이 과정을 포트포워딩이라고 부른다. 하나의 공인 ip로 들어오는 요청을 포트 번호 별로 구분지어 사용하는 포트포워딩과 유사하게 우리는 하나의 공인 ip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라우터나 스위치 단계에서 자체적인 주소 체계 (사설 ip)를 만들어 사용한다. LAN을 구성하는 장치들에 사설 ip를 할당하는 프로토콜은 DHCP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라고 부르며, 사설 ip와..